목록전체 글 (188)
카이도스의 Tech Blog
1) 기존 설정파일 및 디렉토리 백업 ex) /usr/local/lib/php -> php_ /usr/local/lib/php.ini -> php.ini_ # /usr/local/php 있는지 확인 (php5.5 이상) 2) 재컴파일 할 옵션 확인 # php -i | grep configure (기존 php configure 확인) # 특이사항 확인, 재구성할 configure 에 없는 것 있으면 추가 테스트 3) 항상 체크는 configure 후 error 확인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4) mysqli 및 확장모듈 설치 - php.ini 비교해서 설정 맞추기 [버전 upgrade, downgrade] - mysqli 설치 ex) cd /usr/local/src/ph..
raid 0 구성 디스크 파티션 생성 > 레이드 구성 > 마운트로 진행 #fdisk /dev/sdc n > p > 1 > 기본값 > 기본값 > t > fd > w n : 새로만들기 p: 파티션생성 1 : 만들 파티션 수 t : 타입 fd : Linux raid auto w : 저장(쓰기) 레이드 구성 /dev/md0 등의 md 장치가 구성 되어있지 않을경우 아래 명령을 실행 #ls -l /dev/md? #mknod /dev/md5 b 9 0 (b: Block Device., 9:md 장치의 주 번호, 0:0번째 장치) #mdadm --create /dev/md0 --level=0 --raid-devices=2 /dev/sdb1 /dev/sdc1 --create /dev/md0 : 레이드 구성을 md0로 ..
정수의 홀수 또는 짝수 특성 정보 블록과 연결된 중복 정보, 패리티는 오류 후 데이터를 재구축 하는데 사용되는 계산된 값 무결성을 확인하는 오류체크 기능 > 패리티를 통해 복구 가능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에 대한 패리티가 함께 저장되어 특정 디스크 장애로 인해 데이터를 잃어버리면 패리티 통해 잃어버린 데이터 복구 패리티 비트 - 패리티는 데이터가 저장장치 내의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되거나, 컴퓨터들간에 전송될 때, 데이터가 유실 또는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기술과 관련된 용어이다. 정보의 전달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 검사 하기위해 추가된 비트 각문자에 1비트를 더하여 전홍하는 방법으로 (홀수,짝수)가 있다. 자료의 오류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가름, 원본크기 그대로저장하는 방식이아니고 맞는 자료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호스트수 Netmask Bitmask 254 255.255.255.0 24 128 255.255.255.128 25 64 255.255.255.192 26 32 255.255.255.224 27 16 255.255.255.240 28 8 255.255.255.248 29 4 255.255.255.252 30 2 255.255.255.254 31 1 255.255.255.255 32
rename 원본 URL: http://jamesku.tistory.com/entry/ITLinux-mv%EC%99%80-rename-%EB%AA%85%EB%A0%B9%EC%96%B4 작성자: yangdh@hanbiro.com rename 명령 - 보통 파일 한개의 이름을 바꾸려면 mv 명령을 쓴다. # mv test1 testrename1.txt - 한꺼번에 많은 양의 파일의 이름을 바꾸려면 rename사용한다. # rename [변경전 파일명] [변경후 파일명] [대상파일] - rename 명령어는 파일패턴문자(?, *)를 인식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처리가능 - .htm 확장자를 .html로 일괄 수정하기 # rename .htm .html *.htm - .php3 확장자를 .php로 ..
d/rwx/rwx/rwx 1 2 3 4 filetype 파일,디렉토리 소유자 소유자가 속한 그룹 그외 사용자 심볼릭 모드와 8진수 모드가 사용가능 심볼릭 모드 u = 소유자 g=소유 그룹 o=other a=all, r=읽기 w=쓰기 x=실행 8진수모드 소유자 = 4(읽기) + 2(쓰기) + 1(실행) = 7 소유그룹 = 4(읽기) + 1(실행) = 5 other = 1(실행) = 1 chmod 파일 또는 디렉토리 접근 권한을변경 #chmod 644 [filename] 특별한 퍼미션 setuid, setgid, stickybit setuid : 심볼릭 모드로 's'로 표현되어 8진수는 4000 으로 표현, setuid 퍼미션이 설정되어 있는 파일은 그 파일이 실행 되어있는 동안에 그 파일의 소유자 권한을 ..
# Default runlevel. The runlevels used are: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종료 # 1 - Single user mode : 싱글유저 모드 # 2 - Multiuser, without NFS (The same as 3,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 : 3번과 같지만 네트워킹 작업은 하지못함 # 3 - Full multiuser mode : 기본 CUI 모드 (text모드) # 4 - unused :사용하지 않음 (없음) # 5 - X11 : Xwindow 로 부팅 # 6 - reboo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재부팅